‘기초연금선정방식 개편 방향’.
노인 중 하위 70%가 아닌, 전체 국민의 중위소득 50% 이하 노인만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기초연금지급 방식이 대폭 축소될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지금까지 65살 이상 노인 10명 중 7명이 받던기초연금.
하지만 앞으로는 ‘진짜 가난한 노인’만 받을 수 있도록 개편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5일 발표한 ‘기초연금선정.
선정 기준을 높여 지출을 아끼고, 이를 활용해 기준연금액을 올려 나가자는 제안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이승희(왼쪽)·김도헌 연구위원이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기초연금선정 방식을 개편하는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현행기초연금제도를 ‘수급자는 줄이고 지급액은 늘리는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고 정부에 제안했다.
더 가난한 노인에게 ‘연금을 몰아주자’는 것이 핵심이다.
과도한 재정 지출이 발생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소득인정액이 하위 70% 이하인 노인들에게 지급되는기초연금을 ‘기준중위소득(우리나라 전체 가구 소득의 중윗값) 대비 50%로 줄이자’는 국책연구기관의 제언이 나왔다.
노인의 소득과 자산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연금수급자 중 취약계층이 아닌 노인이 증가하고.
노인 소득에서 노령 및 유족 급여가 차지하는 비율이 유럽 8개국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국민연금소득대체율과기초연금수준이 한국의 높은 노인 빈곤율에 영향을 미친다는 지적이다.
2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건복지 이슈앤포커스-유럽.
반면 현재 민주당은 자동조정장치의 경우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 인상과 같은 모수개혁이 아닌 퇴직연금,기초연금등 국민연금과 연계할 수 있는연금제도 전체를 다시 설계하는 작업인 구조개혁 과정에서 논의할 사안이라는 입장이다.
임보라 앵커>기초연금수급자 선정 기준을 바꾸자는 제안을 담은 한국개발연구원, KDI의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수급자를 선정할 때, '중위소득기준'을 활용하자는 게 핵심입니다.
이 속도면 2050년에는 노인 규모가 1,900만 명이 될 거로 예상됩니다.
■노인 10명 중 7명이 받는 '기초연금' 우리나라는 노인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초연금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전체 노인의 70%가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