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벨트를 풀어 부산에서는 제2에코델타시티와.
창원시·김해시를 둘러싼 개발제한구역(녹색)과 국가·지역전략사업선정 현황 [경남도 제공.
따라 8월사업계획, 현장평가와 올해 2월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금번 국무회의에 상정됐다.
이번에 선정된 창원시의 국가·지역전략사업은 진해신항, 부산항신항, 가덕도신공항 건설로 구축되는 트라이포트(항만·공항·철도)와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항만.
이번 선정은 지난해 2월 민생토론회에서지역전략사업이 처음 발표된 이후, 4.
도매시장 이전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대구시는 달성군 하빈면 이전을 앞둔 대구 농수산물도매시장이 국토교통부 주관지역전략사업에 선정돼 그린벨트 해제가 한층 빨라질 전망이라고 25일 밝혔다.
대구시청 산격청사 전경 [사진=대구시] 국토교통부 주관지역.
전라남도는 ‘개발제한구역지역전략사업’에 담양 제2일반산업단지, 장성 나노기술제2일반산업단지 2개소를 확정, 선정했다.
전남도 제공 전라남도는 25일 ‘개발제한구역지역전략사업’에 담양 제2일반산업단지, 장성 나노기술제2일반산업단지 2개소 (1.
경남도 개발제한구역 국가·지역전략사업선정 현황 및 위치도.
/제공=경남도 경남도는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개발제한구역 국가·지역전략사업' 공모에서 4개사업이 선정돼 전국 최다 지구 선정 성과를 올렸다고 25일 밝혔다.
선정된사업은 △진해신항 항만배후.
[울산=뉴시스] 울산시는 25일 열린 국무회의 심의에서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조성사업을 포함한 3개 ‘울산권 국가·지역전략사업’이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다.
(사진= 울산시 제공) 2025.
3개 산단사업은 대상 부지 대부분이 환경평가 1, 2등급에 해당돼 개발제한구역 해제에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그러나 국가·지역전략사업에 선정돼 환경평가 등급에 구애받지 않고 개발제한구역 해제가 가능하게 됐다.
지역별 개발제한구역 해제 총량에서도 울산은.